쇠막대기 성공

 
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
1 초 256 MB 37856 24356 17945 64.384%

문제

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.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,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.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.

  •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. -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,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.
  •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.
  •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. 

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.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, 점은 레이저의 위치,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.

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.

  1.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‘( ) ’ 으로 표현된다. 또한, 모든 ‘( ) ’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.
  2.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‘ ( ’ 로,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‘) ’ 로 표현된다. 

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.

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,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,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. 

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,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한 줄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공백없이 주어진다. 괄호 문자의 개수는 최대 100,000이다. 

출력

잘려진 조각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.

예제 입력 1 

()(((()())(())()))(())

예제 출력 1 

17

예제 입력 2 

(((()(()()))(())()))(()())

예제 출력 2 

24

sollution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#include<iostream>
#include<vector>
 
int main()
{
    std::string scan;
    std::cin >> scan;
    
    bool left_parenthesis_before = false;
    std::vector<char> vector;
    for (auto _ch : scan)
    {
        if (_ch == ')' && left_parenthesis_before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vector.pop_back();
            vector.push_back('l');
            left_parenthesis_before = false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if (_ch == ')'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left_parenthesis_before = false;
            vector.push_back(_ch)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if(_ch == '('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left_parenthesis_before = true;
            vector.push_back(_ch)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
    int sum = 0;
    int steel_num = 0;
    int first_cutted = 0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vector.size(); i++)
    {
        if (vector[i] == 'l'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sum += first_cutted;
            first_cutted = 0;
            sum += steel_num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if (vector[i] == '('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steel_num++;
            first_cutted++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if (vector[i] == ')'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if (first_cutted)
    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first_cutted = 0;
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    steel_num--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   std::cout << sum;
}
cs

1. ()이렇게 붙어있는 괄호를 l 문자(laser의 약자)로 변환한다.

2. 반복문을 돌린다. (일시 겹쳐있는 철근의 숫자 변수(steel_num)를 1 증가시킨다. l 문자일 시 sum 변수에 겹쳐있는 철근의 숫자만큼 더한다.

또한 레이저로 철근을 처음 자르게 되면 1을 더 추가해야하는데. 사진으로 예시를 들어보겠다.

가위로 종이자르기 ::: 지원교육/지원재활 전문서비스 - HOMI.INFO

보다시피 처음 자를 때는 잘려진 종이의 개수가 0개에서 2개가 된다.

그러나 두 번째 자를 때부터는 잘려진 종이의 개수가 2개에서 3개로, 3개에서 4개로 1씩 차근차근 증가하게 된다.

 

처음 잘린 철근은 l 문자당 개수를 1개 더 추가해주어야 하므로

l문자일 시 처음 자르는 철근의 개수를 구해 더해줄 필요가 있다.

 

first_cutted(처음 자르는 철근의 개수 변수)를 선언해준다.

(일시 first_cutted에 1을 더해준다.

l문자일 시 sum에 first_cutted를 더해주고 first_cutted를 0으로 만들어준다.

)이고 first_cutted가 0보다 클 시 first_cutted에 1을 빼준다. (레이저를 거치지 않은 철근은 정답에 더할 필요가 없으므로)

 

 

 

'coding test > 백준 맞은 문제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2846]오르막길  (0) 2022.11.26
[1541]잃어버린 괄호  (0) 2022.11.20
[2422]한윤정이 이탈리아에 가서 아이스크림을 사먹는데  (0) 2022.11.17
별찍기 11  (0) 2022.11.14
[15652]N과 M(4)  (0) 2022.11.12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