입력값과 연산 수행 시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척도
Big-O 표기법
최악의 상황일 때 걸리는 시간을 이용해 시간복잡도를 나타내는 방법
대부분 Big-O 표기법을 이용해 시간을 나타낸다.
상수항과 영향력이 낮은 항은 무시한다.
아래는 예제들이다.
O( ) <- 이 괄호 안에 들어가는 식을 계산해서 언어에 따라서 다른데 c++ 기준 1억분의 1초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고 한다.
'algorithm & data structure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병합 정렬(Merge Sort) (0) | 2022.10.10 |
---|---|
퀵 정렬(Quick Sort) (0) | 2022.10.09 |
삽입 정렬(Insertion Sort) (2) | 2022.10.08 |
버블 정렬(Bubble Sort) (0) | 2022.10.08 |
선택 정렬(Selection Sort) (0) | 2022.10.07 |